고.전.시.대.이.전. 의 성악가나 기악연주자들은...
악보를 보고 자유롭게 장식음을 사용하여 "즉흥적"으로 연주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자유는 무조건적인 것이 아니라...
관습.
곡의 분위기.
템포.
...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후기 르네상스 시대의 류트음악에 있어서 주된 장식형태는,
긴 음부를 짧은 음부로 분할하는 "분할기법(Division)"이었다.
대부분의 류트곡에 있어서...
간단한 선율이 반복될 때는 분할된 음이실제적으로 쓰여져 있는 때가 많았다.
예를 들어 "다울랜드(John Dowland)"의한무곡을 보면 아래와 같이 되어 있다.
(이번 프로젝트에 포함된 "다울랜드"의 "개구리 갈리아드" 역시같은 경우이다.)
악센트 기호는 제1 주제음을 표시하는데,
다른 음들은 주제선율과 멀리 떨어지지 않고 보통 계.단.식. 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반복부가 악보에쓰여지지 않을 때는 연주자기 임의적으로 분할기법을
사용하여 "즉흥연주(Improvisation)"를 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형태를 따라야한다.
바로크시대에 들어와서 이렇게직접 표시하는 것은 점점 줄어들고,
대신 장식음 을 표시하는 일련의 기호가 속기기호 형식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리가도 주법이 발달하고 강박을 불협화음으로 처리하는 경향이 늘어남에 따라
장식의 형태로 변하며,즉흥연주에 있어 장식음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즉 선율 즉흥연주의 수준은 장식음을 표현하는 실력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The Baroque Guitar"(ed. Frederick Noad) 발췌
.
.
"The Frog Galliard" - John Dowland
Renaissance lute - Jose Miguel Moreno
Theorbo & Gittern - Eligio Quinteiro
고음악기타앙상블